2-1. bit, byte 개념 및 2, 8, 10, 16진법에 대한 이해
2진법 = 2가 되면 올림수가 발생하는 진법(2진법에서는 2가 존재할 수 없음)
EX) [0]에서 [1]이되고 [2]가 되는순간 올림이 발생하며 [1 0] 이 된다
EX2) [1 0]에서 [1 1]이되고 [1 2]가 되는순간 올림이 발생하며 [2 1] 이 되지만
2가 존재할수 없기에 다시한번 올림하여 [1 0 0] 이 된다.
기본적으로 [0],[1] 처럼 [ ] 안의 수 하나를 bit 단위라고 한다.
이 bit가 4개가 모이면 nibblebyte 이라고 하고, 8개가 모이면 byte 하고 한다.
그리고 byte가 1024개 모이면 kliobyte가 된다.
그 뒤로 megabyte나 gigabyte도 1024씩 곱해진다.(1024kbyte = 1mbyte, 1024mbyte = 1gbyte)
기계는 자신이 이해 할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 [0],[1] 두가지만을 사용한다.
[0]과[1]은 전기신호를 뜻한다.
0은 전기신호가 들어오지않는 off상태를 의미하고, 1은 전기신호가 들어오는 on상태를 의미한다.
8진법 = 8이 되면 올림수가 발생하는 진법(2진법을 생각하면 쉬움)
수가 1~7까지 증가 하다 8이되면 [1][0] 이 된다고 보면된다.
찾아보니 10진법과 구분이 잘 안된다는 점과 불편하다는 이유로 잘 안쓰는것 같다.
만들어진 목적은 수가 커지면 2진법보다 편하게 쓰기 위해 만들어진 것 같다.
10진법 =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쓰는 것 과 같다 10이 되면 올림이 발생한다.
컴퓨터 보다는 사람을 위해 있는 것.
16진법 = 16이되면 올림이 되는수 다만 10부터는 2자리수 이기 때문에 10부터 알파벳 대문자를 활용한다.
10=A
11=B
12=C
13=D
14=E
15=F
16이 되면 올림이 되기 때문에 16은 없다. ([1][F] [D][A] [2][D] [8][3] 이런식으로 표현된게 16진수 라서 그런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