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객체지향프로그래밍
자바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라고한다.
객체란 무엇인가?
국어 사전에서의 객체의 뜻은 '의사나 행위가 미치는 대상'이라고한다.
주위에 있는 사람, 자동차, 건물등 눈에 보이는 사물을 객체라 볼 수 있다.
눈에 안보이는 것도 객체가 될 수 있다고 한다.
그렇단다.
자바에서 객체란 다양한 변수의 포함과 간단한 동작을 하는 소스들의 묶음정도로 보면 될 것 같다.
그 객체를 생성 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클래스이고, 객체(혹은 인스턴스 라고도함)는 클래스의 속성을 가지고 생성된
변수, 메소드(함수와 같은 기능)의 집합체 정도로 이해된다.
순서로 따지면 맴버변수,메소드를 정의해놓은 클래스가 존재하고, 그 클래스의 변수,메소드의 기능을 변수처럼 정의해 만들어지는 객체(인스턴스) 가 있다.
위와 같이 Man이라는 이름의 클래스를 생성 했다.
클래스에는 name 과 같이 이름, 나이, 성별, 주소 및 전화번호를 기입 할 수 있는 맴버 변수들이 있다.
앞에서 했던 자료형 정수형과 같은 한개의 자료형에 하나만 정의 할 수 있던 변수들과는 달리 하나의 클래스에 다양한 변수들을 정의 할 수 있다.
참조변수인 mike 를 사용하여 객체를 생성하였고, 객체의 맴버 변수를 초기화 하여 출력해보았다.
그런데 맴버변수를 확인하기 위한 출력문이 번거롭고 길게 느껴진다.
그래서 클래스에 메소드를 추가하여 정보를 간편하게 볼 수 있게 해보자.
main에서 메소드를 활용하면 정해진 출력문을 바로 활용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