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t

1. Git 실행하기

0. 폴더 생성 후 Git의 실행

폴더를 생성후 우클릭 후 Git Bash 선택

1. Git을 사용할 폴더 초기화(git init)

 

git을 사용하기위한 폴더 초기화 초기화후 master가 붙는다

2. 파일의 생성 (touch)

touch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 생성

3. Git 상태확인(git status)

git 의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는 명령어

4. git에 추가하기(git add 파일명.확장자)

추가 후 녹색으로 확인할 수 있다.(커밋 필요상태)

4-1. 폴더안의 모든 파일 추가

 

파일 생성후 git add .(한칸 뛰우고 dot(.)) 명령어로 폴더내의 생성된 모든 파일을 add 가능하게 된다

 

 

 

5. 최초커밋 등록(git commit -m '최초커밋')

최초 커밋을 사용하여 현재 상황을 git에 저장. 이후에 status에서 나오지 않음

6. 파일 삭제(git rm --cached index)

rm 명령어 후 status 명령어로 현재 index의 상태 확인가능 commit 으로 삭제완료 혹은 restore 가능 한 상태

7. 폴더 제외(.gitignore)

 

폴더를 2개 생성후 각 폴더내에 파일을 하나씩 생성하면 깃 상태에 폴더명이 뜨게됨
.gitignore 파일 생성(확장자 없음) 후 /dir2 추가
상태창에서 dir2를 제외하고 확인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