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 Programing

3.문자형 변수

문자형 변수를 만들어 문자를 대입해보고 해당 결과를 통해 문자형 변수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역슬래시)u 를 호출함으로써 뒤의 문자는 유니코드를 뜻함을 알려줍니다. 그래서 유니코드 D604를 대입하여 출력시 유니코드에 해당하는 한글 '현'을 출력할 수 있게 됩니다.

 

(역슬래시)u 가없이 유니코드를 기입하면 에러가 뜹니다. 

 

하나의 문자가 아닌 문자열로 인식 하였기 때문에 Stirng 형으로 변경하니 에러가 사라집니다.

 

char문자형 의 경우는 '(작은따옴표)로 대입이가능하고 1글자의 문자만 대입이 가능합니다.

String문자열형 은 "(큰 따옴표)로 대입이 가능하고 여러문자를 대입 할 수 있습니다.

문자열의 경우는 맨 마지막에 null 이라는 마침표의 역할을하는 데이터가 들어갑니다.

null은 0으로 채워져 있고 문자열의 마지막에 자동으로 들어가게 되어있어서 실제 문자열에 1byte가 추가 됩니다.

컴퓨터에게 문자를 출력하다가 출력을 끊어주는 시점을 정하기위해 만들어 졌다고합니다. (아스키 코드 0이 null)

 

 

문자형 변수에 양수와 음수를 넣어서 출력해본 실습입니다. 음수의 경우는 ?기호로 표기가 되고 있습니다.

 

 

이상 문자형 변수를 사용해보는 실습이었습니다.

'Java Progra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5.반복문  (0) 2020.03.24
4-1.제어문  (0) 2020.03.23
3-3.디버깅 에 관한 간단 실습  (0) 2020.03.20
3-1. 실수형 과 논리자료형 실습  (0) 2020.03.20
2-3 변수를 사용한 실습 몇가지  (0) 2020.03.19